메뉴 건너띄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KCTI 발간물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서

    [관광] 외래관광객 정책 수립을 위한 데이터 활용 제고 방안

    저자
    류광훈,김동현,이성빈
    작성일
    2024-12-03
    공개여부
    공개
    조회수
    2258
    구분
    정책과제
    발간년도
    2024

    정책연구,2024-23,외래관광객 정책 수립을 위한 데이터 활용 제고 방안,Strategies for Enhancing the Use of Data in the Development of  Foreign Tourist Policies,류광훈,김동현,이성빈,한국문화관광연구원

     

    □ 연구배경
    ㅇ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침체되었던 국제관광의 본격 회복 및 재개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침체되었던 국제관광이 본격적으로 회복되어 재개되면서, 2023년 세계관광객 수는 약 12억 8,600만 명 이상으로 전년 대비 약 34% 증가하였으며, 2019년 동기 대비 약 88% 수준까지 회복된 수치로 나타났다(UN Tourism Barometer, 2024.01.). 세계관광기구(UN Tourism)의 국제관광 추세에 따르면 2024년 세계관광객 수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출입국관광통계를 토대로 살펴보건데, 2023년 기준 방한 외래관광 객 수가 전년(2022년) 대비 245.0% 증가한 약 1,103만 명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팬 데믹 이전인 2019년 대비 약 63.0% 수준까지 회복된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관광시장 또한 빠르게 회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 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침체되었던 국제관광이 본격 회복 및 재개되고 있는 상황이다. 엔데믹 시대에 들어서 전 세계적으로 국제관광 교류가 재개되고 관광시장이 빠르게 회복됨에 따라 외래관광객 유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캐나 다의 경우 2022년 10월 관광객에 대한 모든 코로나19 입국 제한을 해제함에 따라 관광 부문의 지속적인 지원과 회복 강화를 위해 ‘캐나다 관광 성장 전략(Canada 365: Welcoming the World. Every Day. The Federal Tourism Growth Strategy)’을 발표하였으며, 스위스의 경우 관광청에서 외래관광객을 유치하고 스위스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마케 팅 및 홍보 전략인 ‘스위스 관광청 전략(Strategy and Planning 2023-2025)’을 발표 하였다. 우리나라와 가장 인접한 일본의 경우 방일 외국인 소비액 5조엔 조기달성을 위해 ‘신시대 인바운드 확대 액션 플랜(新時代インバウンド拡大アクションプラン)’을 수립하여 추 진 중에 있으며, 일본 관광청과 JNTO는 ‘관광입국추진 기본계획’에서 제시한 지속가능 한 관광, 소비지출 확대, 지방방문 촉진을 실현하기 위하여 ‘방일 마케팅 전략(訪日マー ケティング戦略)’을 수립하여 발표하였다. 우리나라 또한 외래관광객 유치 활성화를 위해 2024년 방한 외래관광객 2,000만 명 유치 및 관광수입 245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대한민국 관광수출 혁신전략’을 발표하여 코로나19 이후 관광객 유치경쟁에서 국제적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세 부적으로 방한 외래관광객이 지속적인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는 시점에서 외래관광객 지 방분산 및 지역관광 활성화, 외래관광객의 관광소비 확대 등 외래관광객을 대상으로 하 는 주요 과제와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ㅇ 정책 수립 단계에서 데이터의 중요성 증대 및 새로운 데이터의 등장

    - 문화 및 관광분야 정책의 경우 비정형적 특성이 상존하고, 외부변수에 의해서 정책의 성패가 결정되는 양상이 여타 정책에 비해 높다는 점에서 증거기반 정책의 적용 방식을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는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라 이 해관계의 접점에서 발생하는 관계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다각적 접근과 면밀한 분석이 정책일반에 요구되고 있다(정규진 외, 2012: 96). 외래관광객 정책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책 수립 단계에서 정책 입안자가 정 책을 수립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객관적인 정보 및 근거를 활용한 체계적이고 완성도 높은 정책 수립을 위해 데이터가 중요하다. 특히 관광분야 정책의 경우 타 정책 대비 외부환경에 영향을 상당히 많이 받는다는 점에서 외부환경 변화를 예 정책 수립을 위한 데이터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외래관광객 정책은 통제 불가능한 외부변수에 영향을 상당히 받는다는 점에서 실증적 지식과 과학적 접근의 방법론을 강조하고 있는 데이터 기반 정책의 적용이 중요하며, 특히 환경변화를 예민하게 예측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통계와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방안에 모색이 필요하다. 최근 OECD(2024)에서는 새로운 데이터원과 도구를 사용하여 기존 통계방식을 보완 하고, 관광데이터의 적시성과 세분화를 개선하려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새로운 데 이터원으로 행정 부문 데이터, 온라인 여행 플랫폼 데이터, 신용카드 거래 데이터, 지리공간 데이터, 녹색 및 환경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등 새로운 데이터가 등장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NTT도코모사와의 협력을 통해 모바일 공간 통계의 위치 정보 데이터로 부터 유동인구 및 방문객의 속성과 방문 전후의 동태를 시간대별, 시계열별, 분기별로 파악 및 분석하고 있으며, EU공동연구센터는 온라인 관광플랫폼 데이터결합을 통해 호 텔위치와 수용능력을 매핑하고, 숙박일수에 대한 공식통계와 해당 데이터를 결합하여 실 시간 관광객 위치를 제공하는 등 정책 수립 단계에서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는 외래관광객 관련 통계는 출입국관광통계, 외래관광객 조사, 주요 관광지점 입장객 통계 등이 존재하지만, 외래관광객의 방한 관광 실태 및 특성, 이 동경로 등 외래관광객의 방한관광 세부 특성을 파악하기에는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는 통계에서 시의적으로 판단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도 외래관광객 관련 정책 수립 및 추진시 기존 관광통계와 빅데이터 등 새로운 데이터와의 연계를 통해 정책 수립 전반의 단계에서 다양한 통계 및 데이터를 활용하여 체계적인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현재 생산하고 있는 외래관광객 관련 데이터 외의 외래관광객의 방한관광 실태 를 보다 면밀히 파악하여 정책 수립 및 추진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근거를 강화 할 필요가 있다. 특히 현재 생산하고 있는 외래관광객 데이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새롭게 등장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연구목적
    ㅇ 본 연구는 외래관광객 정책 수립을 위한 데이터 활용을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외래관광객 정책에서의 데이터 활용 진단, 국내외 사례 분석, 전문가 및 정책 담담당 대상으로 의견조사 등을 토대로 정책적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보다 세부 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래관광객 정책의 데이터 활용 수준을 진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관광(연 계)부문 승인통계, 비승인통계(기타 데이터), 빅데이터 등을 대상으로 진단하여 데이터 활용 수준과 개선 과제 등을 도출하고자 한다. 둘째, 국내외 관광정책 관련 데이터 활용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해외사례의 경우 OECD(2024)에서 실시한 조사에 응답한 국가들을 중심으로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 의 관광데이터와 더불어 빅데이터를 포함한 새로운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광산업에 대한 정책 및 비즈니스 의사결정 지원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에게 적용가능한 시사점을 도출 하고자 한다. 국내사례의 경우 정책 목적 및 주요 내용, 데이터 활용 목적, 활용 데이터, 데이터 출처 등을 중심으로 데이터 활용을 통한 관광정책 수립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 을 도출하고자 한다. 셋째, 외래관광객 대상 정책 데이터 활용 제고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의견조사를 실 시하고자 한다. 1차 FGI는 데이터 활용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조사하고 2차 설문조사 설계를 보완하고, 2차 설문조사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1차 FGI 결과를 토대로 통계 및 빅데이터에 대한 인지 수준과 각 정책 목표별 데이터 활용 현황 수준 등에 대하여 진단 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외래관광객 정책 수립 고도화를 위한 데이터 생산 및 활용 방안을 모색하 기 위하여 종합 진단 및 기본방향을 설계하고, 데이터 활용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공공누리 4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07511 서울특별시 강서구 금낭화로 154 전화 02)2669-9800 팩스 02)2669-9880

Copyright ⓒ 2007 KCTI All rights reserved. E-mail to webmaster@kcti.re.kr

웹접근성 마크 2025.01.15~2026.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