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1
2018년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개요
구분 | 세부 내용 |
조시 근거 |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 제6조 |
조사 목적 | 학교 밖 청소년의 현황 및 실태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조사 대상 |
전국 9세 이상 24세 이하 학교 밖 청소년 ※ 7개 유형 기관* 196개소 내 학교 밖 청소년 3,213명(표본수) |
조사 방법 |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자기기입식 설문 및 심층면담 |
조사 기간 | 2018년 6월18일 ~ 8월31일(약 2.5개월) |
조사 내용 |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중단 시기와 그 원인, 학교 밖 청소년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상태, 학교 밖 청소년의 가족·친구관계 및 경제상태,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 학교 밖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의 활용 현황, 그 밖에 학교 밖 청소년의 현황 및 실태파악에 필요한 사항 등 |
중단시기학교를 그만두는 시기는 고등학교 때가 60.5%로 가장 많고, 그 다음 중학교(26.9%), 초등학교(12.4%)의 순으로 나타남
○ 비행청소년*의 경우 초등학교시기에 학교를 그만두는 경우가 0.3%로 매우 낮은 반면, 고등학교 때 학교를 그만두는 경우는 78.3%로 매우 높게 나타남
* 설문 조사 시 소년원과 보호관찰소에서 조사된 청소년
○ 지난 `15년 조사에 비해 고등학교시기에 학교를 그만두는 비율이 10.2%p 높아진 반면, 중학교시기에 학교를 그만두는 비율은 11.3%p 낮아진 것으로 조사됨
표2
학업중단 시기
구분 | 초등학교 때 | 중학교 때 | 고등학교 때 | 합계 | |
연도별 | 2015년 | 11.3 | 38.2 | 50.3 | 100.0 |
2018년 | 12.4 | 26.9 | 60.5 | 100.0 | |
응답자 유형별 | 일반 | 15.3 | 28.2 | 56.2 | 100.0 |
비행 | 0.3 | 21.4 | 78.3 | 100.0 |
중단사유학교를 그만둔 사유는 학교에 다니는 게 의미가 없어서(39.4%), 공부하기 싫어서(23.8%), 원하는 것을 배우려고(23.4%), 학교 분위기가 나와 맞지 않아서(19.3%) 등의 순으로 나타남
표3
학업중단 사유(복수응답)
구분 |
학교 다니는 게 의미 없어서 |
공부하기 싫어서 |
원하는 것을 배우려고 |
학교분위기와 맞지 않아서 |
심리·정신적 문제 |
검정고시 준비 |
|
전체 | 39.4 | 23.8 | 23.4 | 19.3 | 17.8 | 15.5 | |
성별 | 남자 | 38.7 | 27.8 | 19.5 | 15.9 | 13.4 | 15.7 |
여자 | 40.2 | 19.6 | 27.5 | 22.9 | 22.3 | 15.4 |
후회경험학교를 그만둔 것을 후회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청소년은 45.4%로, 후회한 적이 없다고 응답한 청소년 54.6% 보다 9.2% 낮은 비율을 보임
비행청소년 경우 일반 청소년 보다 후회한 적이 17.1%p 더 높았으며, 그만둔 것을 후회한 이유는 다양한 경험부재(52.5%), 친구 사귈 기회 감소(50.1%), 교복 입을 기회 없음(47.9%) 등의 순으로 나타남
학업중단 후 어려움학교를 그만둔 후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편견이나 무시 등 선입견(39.6%), 적성에 맞는 진로 찾기(28.0%), 무기력함 (24.0%), 부모와의 갈등(23.9%) 순이며, 어려움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도 26.9%를 보임
표4
학업중단 후 겪고 있는 어려움(복수응답)
구분 |
선입견, 편견, 무시 |
진로 찾기 어려움 |
없음 |
의욕 없음 (무기력) |
부모와의 갈등 |
일을 구하기 어려움 |
학교 친구와의 관계 단절 |
2015년 | 42.9 | 28.8 | 25.8 | 19.7 | 26.3 | 19.9 | 14.4 |
2018년 | 39.6 | 28.0 | 26.9 | 24.0 | 23.9 | 18.1 | 15.6 |
생활실태학교 밖 청소년은 검정고시 준비(75.5%), 진로상담(47.9%), 대안학교(27.8%), 직업기술 훈련(26.3%) 등 학업·진로탐색을 경험하며 미래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표5
학교를 그만둔 후의 경험 실태(복수응답)
검정고시 | 진로상담 | 대안학교 |
심리상담 치료 |
직업기술 | 병원입원 | 정규학교 복교 |
75.5 | 47.9 | 27.8 | 27.8 | 26.3 | 17.8 | 4.1 |
심리상태남자청소년에 비해 여자청소년이 느끼는 우울감·불안감이 높게 나타남
그림 1
성별에 따른 최근 한 달간 심리상태
지원시설 및 프로그램 인지도학교 밖 청소년 지원을 위한 시설 및 프로그램 중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에 대한 인지도가 88.2%로 가장 높게 나타난 가운데, 상담복지 센터(71.5%), 청소년 센터(47.3%) 등의 순으로 인지도가 높게 나타남
표6
지원 시설 및 프로그램 인지 여부
구분 |
학교밖 지원센터 |
상담복지 센터 |
청소년 쉼터 |
취업 성공패키지 |
내일배움 카드 |
청소년 동반자 |
내일 이룸학교 |
위기청소년 특별지원 |
2015년 | 58.5 | 66.6 | 53.6 | 27.1 | 14.6 | 17.0 | 19.8 | 16.3 |
2018년 | 88.2 | 71.5 | 47.3 | 26.8 | 16.5 | 15.0 | 14.5 | 12.7 |